- 이반일리치, <교육사회에서의 탈출>
- 돈 오버도퍼, <두 개의 코리아>
- 토마스 홉스, <리바이어던>
- 파울루 프레이리, <페다고지>
-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 기 드보르, <스펙타클의 사회>
- 한나 아렌트, <전체주의의 기원><인간의 조건><예루살렘의 아이히만>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픽션들>
- 재러드 다이아몬드, <문명의 붕괴><총,균,쇠>
-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
- 브뤼노 라투르,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
- 황견, <고문진보>
- 칼 세이건, < 코스모스>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체르노빌의 목소리>
- 도넬라H.메도즈, 데니스 L. 메도즈, 요르겐 랜더스, <성장의 한계>
- 하워드 진, <미국 민중사>
- 아르놀트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 리링, <집 잃은 개: 논어읽기, 새로운 시선의 출현>
|
| - 신채호, <조선 상고사>
- 왕후이, <죽은불 다시 살아나>
- 조르주 아감벤, <호모 사케르>
- 버지니아 울프, <3기니>
- 바뤼흐 스피노자, <에티카>
- 루쉰, <루쉰 전집>
- 이병률,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
- 무라카미 하루키, <상실의 시대>
- 조르주 페렉, <사물들>
- 비톨트 공브로비치, <포르노 그라피아>
- 윌리엄 서머셋, <달과 6펜스>
- 허먼 멜빌, <모비딕>
- 밀란쿤델라, <농담>
- 야마나카 신야, 마스카와 도시히데, <새로운 발상의 비밀>
- 임헌우, <스티브를 버리세요>
- 존 호트, <신과 진화에 관한 101가지 질문>
|
| - 히라노 게이치로, <나란 무엇인가>
- 조정래,<태백산맥>
- 스티븐 킹, <별도 없는 한 밤에>
- <젊은 과학도에게 드리는 조언>
- <만물의 공식>
- <근대 엔지니어의 탄생>
- 함석헌,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