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읽은 책에서 꿈을 조금 더 쉽게 이루는 법에 대한 인사이트가 있었습니다. 앞으로 생각에 관한 글을 브런치에 올려보려고 합니다. https://brunch.co.kr/@imcreator/3 꿈을 이루는 법에 대하여 팀 페리스 를 읽고 | 아니, 내 생각에 그렇게 새로운 방법도 아닌 것 같은데 최근에 되게 놀라운 깨달음을 얻었다. 팀 페리스의 라는 책에서 저자가 제안한 방법이었는데 갖고 싶은 것, 되고 싶은 것, 하고 싶은 것 세 카테고리에 내가 원하는 것을 기입한 뒤 그중 내가 정말 중요하다 생각하는 것 또는 꼭 이루고 싶은 것 4개만 고르는 것이다. 그다음 각 목표 brunch.co.kr
[참조 : https://unsplash.com/photos/ASKeuOZqhYU] 최근에 그런 경험을 한 적이 있다. 나와 전혀 다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에게 내가 하는 일을 소개하는 기회가 있었다. 이 소개가 있기 전까지 짧은 대화가 오고 갔지만 굉장히 대화가 잘 통한다고 느꼈기 때문에 나는 신나서 지금 내가 맡고 있는 프로젝트를 설명을 했다. 그러나 그 분은 내가 기대했던 반응과 조금 다른 리액션과 함께 이렇게 얘기했다. "얘기를 해줘서 정말 고마운데 저는 제인님이 하는 일이 정확히 어떤 일인지 와 닿지가 않아서 '아 그렇구나' 하는 수준의 반응밖에 보이지 못하겠어요." 그리고 잠깐의 정적동안 나는 굉장히 많은 생각이 들었던 것 같다. 왜 이것도 이해를 못하지? 하는 반감이 드는 생각부터 시작해서 ..
[출처: https://unsplash.com/photos/yz4VF6x0W3M] 상식적이고 합리적이라는 말은 내게 잘 어울리는 수식어이기도 하고 (어디까지나 내 기준이지만) 살아가는데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좋은 의미가 더 강하게 느껴지는 단어들이다. 세상에 상식적이지 않고 합리적이지 않다면 사는 게 얼마나 괴로울까. 아니 본인 말고 그 주변 사람들이... 하지만 너무나도 상식적이고 너무나 합리적이면 어떻게 되는 걸까? 높은 상식과 합리성은 상상력과 대치하게 된다. 이건 내 생각이 아니라 의 저자 팀 페리스가 언급한 말이다. '상상력이 낮다는 것은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것을 의미한다'고 그는 말했다. 왜 사람이 상식과 합리적인 면에만 머물러서는 안되는지 의문이 들 수 있다. 물론 일반적인 얘기로 요즘 세상..
내가 블로그를 하는 이유사실 최근 꽤 긴 시간동안 마음에 드는 글을 써내지 못하기도 했지만 그만큼 글을 쓰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들어서 블로그가 잠정 휴면 상태에 있었다가 요즘 다시 해야겠다는 마음이 들기 시작한 건 내 입장에서는 굉장히 큰 변화 덕분이었다. 큰 변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자면 서론이 길어지고 이 주제와 맞지는 않기 때문에 우선 넘어가고, 내가 블로그를 하고 있는 이유에 대한 해답이 떠올라서 잃어버리기 전에 남기고 싶었다. 방금 쓴 문장이 내가 블로그를 하고 있는 이유다. 무언가를 잃어버리고 싶지 않아서 블로그를 하는 것이었다. (잊어버리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다) 내가 본 책이나 글이나 떠올린 생각들을 모두 온전히 가지고 있다가 필요할 때마다 떠올릴 수 있으면 좋겠지만 애초에 장기기억으로 남..
우리가 자기계발서를 읽어도 자기계발을 할 수 없는 이유[참조: unsplash.com]자기계발서에 대한 생각다른 어떤 책 보다도 자기계발 분야의 책이 잘 하는 것 중에 하나는 사람들의 마음을 현혹시키는 달콤하고 도발적인 제안이라고 생각한다. 책 표지에 볼드체로 크게 써진 문구를 바라보면서 생각을 하는 거지. '아니 이렇게 쉽게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는데 나는 왜 몰랐을까!' 매번 그렇지만 과거에 자기계발 책을 읽고 나서 나 스스로가 얼마나 바꼈었는지를 되돌아보면 그렇게 기대하던 변화는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또 다시 기대와 희망을 가지고 책을 펼치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런 제안을 하는 것도 한두번이지 수많은 책들이 그런 제안을 하면 뭔가 미심쩍기 시작한다. 자기계발 서적들이 실제로 얼마나 효용성..
이 글은 2017년 3월에 - 벌써 1년 반이 지났다 - 쓴 글인데 사실은 제목처럼 누구나 무언가를 몰입할 정도로 탐닉을 할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 것이었는데 내용을 보면 20대동안 내가 추구했던 방향들이 있고 방향을 전환해야했던 계기가 쓰여져 있어서 이 글이 내가 걸어온 방향의 한 가지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사실 이 글을 쓴 계기는 신승윤 저자의 라는 영화 평론 책을 읽으면서 였는데 재밌는 책이고 많은 인사이트를 얻었는데 참 의식의 흐름으로 흘러간 거라 지금 쓰는 얘기와 연관성을 찾긴 어렵다. 나는 감성적인 사람이 아니었다. 과거형으로 말했다고 해서 지금은 감성적인 사람이다라고 이분법적으로 말을 할 수 없지만 확실히 과거의 한 시기는 감성적이지 않았다고 본다..
익숙함이 필요했던 날 현지에서 집을 구하는 게 온라인으로 예약하는 것에 비해 싸다는 얘기를 듣고 딱 이틀만 숙소를 예약해뒀다. 첫날은 저녁이 다 돼서 도착했으니 다음날 모든 것을 해결해야 하는 상황. 우선 에어비앤비 위주로 숙소를 찾아보았는데 한달동안 머무르는 것에 대해 특별한 이점이 있을만큼 프로모션이 있는 것도 아니었고, 우리가 원하는 조건 (투 룸, 와이파이)에 원하는 가격 (1인 40만원 미만) 으로 찾으려 하니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그리 많지가 않았다. 마음에 든다 싶으면 가격의 마지노선을 넘기 십상이었고— 짱구지역이 생각보다 비쌌다. 스미냑보단 싸겠지만..— 직접 찾는것도 숙소가 많긴 한데 다 골목골목에 있어서 오토바이를 빌려서 다녀도 일일이 찾아보는게 쉽지 않더라. 게다가 햇볕도 따가워 지..
사람이 굉장히 힘든 시기를 겪고 나면 잠시 맛이 가거나 일시적으로든 장기적으로든 좋든 싫든 변화를 일으키기 마련이다. 내가 그 동안 잠적했던 이유는 6개월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하고 있던 외주 프로젝트덕분(?) 이었다. 과거에 그런 일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너무나 오랜만에 마감이 촉박해진 것이다. 하고싶은 말이 많지만 이런 얘기는 아무도 관심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나를 포함해서) 간단히 말해서 2개월을 하얗게 불태웠다. 그리고 캐나다로 튀었다. 한 10일정도 캐나다에 살고 있던 친구를 만나 여행을 했고 돌아오면 리플레쉬 버튼 누른듯이 원상복귀하겠지. 했는데 얼마든지 블로그를 할 기회가 있었는데 좀처럼 하고싶지가 않았다. 그렇다고 삶에 회의감을 느끼거나 지친 것도 아니었는데 실제로 돌아오고 나서 일이..
과도기라는 단어의 정의를 생각해보면 아이러니하게도 살면서 과도기가 아니었던 적이 거의 없었다. 나는 나 자신을 포함해서 주변 사람들이 어떤 고민을 많이 할 때 또는 혼란스러울 때'그건 무엇무엇의 과도기이기 때문인 것 같다.' 라고 말하곤 했다. 나의 가장 최근 예를 들면 대학원을 졸업할 때즈음 과도기를 겪었고, 졸업 후 동기들과 조금 다른 길을 걸으며 이 길이 맞는 걸까 당시 선택을 수시로 되짚어보면서 또 다른 과도기를 겪었다. 생각해보니 매년 고민과 혼란이 없었던 적이 없었으니 매 순간이 똑같은 이유는 아니지만 어떤 부분에서의 과도기였던 것이다. 그러다 이게 정말 과도기가 맞는 걸까? 내가 그냥 두루뭉실하게 던지는 용어가 아닐까? 물었다. 아니, 내가 왜 애초에 과도기라고 말을 했을까? 그건 과도기란 ..
갈비탕옛날 과자 한박스칼포도귤낙지젓갈더덕콜라법주이건 올 추석에 가져가겠다고 출발 전날 짠 체크리스트이다. 경주 시골에 있는 할아버지댁에 매년 가면서 항상 뭔가 하나씩 빼먹는 바람에 이번에는 체크리스트로 꼭 확인해서 가려고 준비한 것이다. 칼은 일할 때 부족할까봐 가져가고 젓갈, 콜라는 기름진 추석 음식을 대비할 수년간의 지혜(?) 다. 이렇게까지 준비를 해서 이번엔 완벽하겠지 했지만 도착하고 나서야 가져온 법주가 저번 제사때 쓰다 남은 걸 잘못 가져온 걸 알았다. 이게 체크리스트의 약점이다. 다행히 큰아버지가 가져오신 술이 있어서 잘 넘어갔다.그 먹다만 법주를 내가 챙겼다고 말하지 않을 걸 빼고는...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release build issue
- multiDex issue
- iterms
- node.js
- 아키텍처
- 좋은 습관이란
- 시간 관리
- git 실수
- 이미지 여백주기
- retrofit
- go
- 소프트웨어 공학
- 구독료 계산기
- MVP
- Android
- 그리고 상상력
- 스크럼
- 공존이 필요해요
- 창의성을 지휘하라
- 최은영작가님
- 소름돋는필력
- gradle
- egghead
- React Native
- 안드로이드
- git ssh 연동
- 이미지 일괄 변경
- patch-packages
- 쉽게 말하는법
- 애드 캣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