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기초는 쌓기 어렵다기초가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 하지만 어떤 것을 함에 있어서 기초가 무엇인지는 적어도 모든 부분에 있어서 알 수는 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기초가 무엇인지 안다고 해서 왜 그것이 기초인지 이해하는 사람은 몇이나 있을까? 예를 들면 나는 수학 문제를 풀 때 지우개를 잘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하지만 지우개 사용의 버릇을 들이기 위해 여러 번 수학 선생님에게 지적을 받았고 지우개를 나도 모르게 쓰고 나서 즉시는 아니었던 어느 순간에 잘 지우는 행위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이해하게 되었다. 지우개 사용법을 가르쳐주신 수학 선생님은 사실 이것 외에도 기초의 중요성을 많이 가르쳐 주셨다. 공식을 알기에 앞서 공식의 배경과 증명법을 알려 주셨기 때문에 증명을 이해..
Jhipster 키워드 검색힙스터란? https://jhipster.github.io/ android DI 키워드 검색의존성 주입 (Dependency Injection, DI)에 관한 개념과 대표적인 안드로이드 DI 라이브러리 비교https://realm.io/kr/news/android-weekly-kr-196/https://medium.com/@jason_kim/tasting-dagger-2-on-android-%EB%B2%88%EC%97%AD-632e727a7998#.77luyzrodhttp://antonioleiva.com/dagger-3/ MVP 개념안드로이드에서 MVP 개념을 적용하는 방법과 MVC와 MVP의 개념과 서로간의 차이를 알려준다.http://www.tinmegali.com/en/..
웹을 크롤링하는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다면 한 번쯤 봉착하는 문제인 “크롤링은 합법인가?”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된다. 이커머스 사이트에서 상품 정보를 크롤링하는 것이 합법인가에 대한 질문에서 Quora에서의 답변들은 기본적으로 크롤링 또는 스크래핑 자체가 불법이지는 않다는 의견이다. E-Commerce의 상품을 크롤링해 가격을 비교하는 것이 합법이냐의 질문에 윈도우 쇼핑으로 사람들이 검색을 하고 가격 분석을 하듯이 그 과정을 자동화시켰을 뿐이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크롤링하는 사이트에 허락을 받을 필요는 없다고 한다. 또한 현재에 이미 많은 가격 비교 사이트들이 존재한다. 만약 이것이 불법이었으면 이런 사이트들이 현재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사실 크롤링이 합법이냐에 대한 문제는 2000년 초부..
혹시 Proguard로 난독화하고 릴리즈한 APK를 실험해보았는지 의심해보자!혹시 Retrofit을 쓰고 있다면? 어제 오후 Google Play Store에 1차 배포를 완료한 후 신나게 퇴근하고 집에 들어와 배포 버전을 다운받으니 앱이 시작하자마자 죽어버리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또 하나 늘었다.앱은 그다지 복잡한 기능도 가지고 있지 않았고 심지어 켜자마자 인트로 페이지에서 죽어버려서 디버깅을 하느라 애를 먹었는데 신기하게도 한번 죽고 나면 그 다음은 죽지 않고 인트로 페이지에서 멈춰 있었는데 (이때 초기에 세션 정리하는 로직이 서버로 아예 오지 않아 Retrofit을 의심했었는데! 바보같이!)다행히 몇 시간의 삽질과 소 뒷걸음질치듯 우연찮게 건드려본 곳에서 원인을 발견했다. 일단 첫 번째 의..
스페인 여행을 다녀온지 이틀째, 돌아온 날 어제는 정말 깊게 잠들었고 피곤해서 꿈까지 꿨던 것 같다.오늘치 잠을 다 써버린듯 거짓말같이 잠이 오질 않는다. 스페인에서의 일주일은 여기서 일주일과는 확연히 달랐고 아주 길었다가 짧아졌고 지금은 또 길다. 이번 여행은 마냥 놀고 즐기고 오는 여행이라기 보단 내겐 여러모로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일에서 온전히 떨어지는 일주일이기도 했고, 엄마를 처음으로 모시고 가는 배낭여행이었고 여태까지 여행중에 가장 아무런 기대도 없이 떠난 해외여행이었다.아마 새로운 것들을 얻기보다는 무언가 내 안의 어떤것들을 내려놓으려 갔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갈 때도 올 때도 생각이 많았지만 머물러 있을때만큼은 아무런 생각도 할 수 없었다. 아무런 기대도 없이 간 것치고는 스페인은 정말 ..
앱을 배포하기 전에 디버깅용 앱에서 Facebook 인증을 하기 위해서는 debug.keystore를 이용해 키 해시를 생성하면 됩니다. 이 해시 키를 사용하면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올린 앱을 받는 경우 비공개 알파버전이라 하더라도 인증이 되지 않습니다. 구글 플레이에 올려진 앱은 릴리즈 버전으로 생성한 keystore로 검증되어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포 버전에서 Facebook 인증을 하기 위해서는 릴리즈 버전을 배포할 때 사용한 keystore를 이용해 키 해시를 생성하고 Facebook 개발자 콘솔에 등록해주어야 합니다. 만약 keystore 위치를 /Users/imcreator/MY_KEY.jks 라고 한다면 터미널에서 1keytool -list -keystore /Users/imcreator..
이 글은 Big Nerd Ranch에 Chris Stewart가 기고한 글에서 발췌 및 각색한 내용 입니다.원문은 아래 링크에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https://www.bignerdranch.com/blog/splash-screens-the-right-way/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에서 스플래시 스크린 - 앱을 실행할 때 주로 앱 로고를 중앙에 띄우는 인트로 페이지죠 - 은 곧바로 메인페이지로 넘어가기엔 밋밋해서 넣는 경우도 있는데 사실 이외에 다른 목적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불러오는데 시간이 걸리는 데이터들을 (하지만 곧바로 쓰일) 인트로 화면을 띄워놓은 상태에서 미리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스플래시 스크린은 맨 처음 시작하는 녀석이고 그렇기때문에 곧바로 준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액티비티에서 lay..
"범주가 '제대로' '잘' '최고로' 정해져 있다면 세상에 모를 것이 없다.""지혜란 온 세상의 구조를 파악하는데서 비롯되는데, 온 세상의 구조가 범주에 있다면 멀리 찾지 않고 천지 운행을 알 수 있다." - 31~32p.작은 책 한 권으로 주역을 모두 이해할 수 있을거라 크나큰 착각을 했다. 주역이 만물을 이해하는 범주이자 원리라는 것을 알았더라면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을 테다. 주역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알지도 못한 채 책을 펼쳤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했던 것 같다. 이 책을 읽고난 지금은 주역이 무엇인지 정도를 알게된 주역 입문자 수준은 된 것 같다. 그것만으로도 굉장히 만족스럽다. 앞서 말한 것처럼 주역은 만물을 규명하는 8가지 팔괘라고 하는 범주를 기반으로 한 학문이다. 만물의 범주라는 말은 ..
과학책들은 읽어서 그 사실과 이론을 알면 고만이지마는 경전이란, 즉 성인의 가르치심이란 인생의 살아가는 길, 즉 도를 가르치신 것이기 대문에 눈으로 보고 입으로 읽는 것만으로 알아질 것이 아니요 진실로 몸으로 읽고 혼으로 읽어서야 알 것이 아닙니까? 이론으로 깨달을 것이 아니라 행으로 깨달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아무리 성인이셔도 도를 누구에게 줄 수는 없는 것이니 마치 아무리 헤엄의 명인이라도 헤엄치기를 누구에게 줄 수도 없음과 같읍니다. 오직 제가 '알고' 제가 '하는' 것입니다. 내 글 가운데 혹시 옳은 말이 있다고 하면 그것은 내 스승님의 말씀입니다. 내 말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형이 만일 내 글을 보고 나를 스승으로 삼고 싶은 마음이 나셨거든 나를 버리시고 정말 스승님께로 가시기를 바랍니다. ....
지친다. 설마 설마 이것보다 더 심하겠어? 싶을 때 그 설마는 이미 내 눈앞에 펼쳐진 '실제'이다. 영화의 맨 처음 철책을 지키는 군인이 "이건 농담인데 만약 혹시나 배가 고장이 나서 선을 넘어간다면 어떻게 하겠느냐?"라고 물었을 때 남철우는"아니 이 배는 제 전재산인데..." 하며 말 끝을 흐린다. 전 재산인데 어떻게 배를 버리느냐 그럴 수 없다 또는 전 재산인데 그렇지만 어쩔 수 없지 배를 버려야지 하지 않는다. 내가 본 그 여지는 당에 대한 암묵적인 믿음이다. 아니 그래야만 하는 믿음. '이건 내 전 재산인데' 라는 말은 말 그대로 그게 아니면 당장 하루 살아가기도 힘든 일어나서는 안 되는 가장 최악의 상황인 거다. 답을 내릴 수 없는 질문을 하는 거지. 아니 사람의 생사가 걸려있는데 이런 질문 자..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그리고 상상력
- 최은영작가님
- 시간 관리
- 이미지 일괄 변경
- egghead
- git 실수
- 소름돋는필력
- 좋은 습관이란
- go
- iterms
- retrofit
- 창의성을 지휘하라
- Android
- release build issue
- 안드로이드
- 아키텍처
- 소프트웨어 공학
- 구독료 계산기
- gradle
- 스크럼
- React Native
- 공존이 필요해요
- MVP
- node.js
- 이미지 여백주기
- multiDex issue
- git ssh 연동
- patch-packages
- 쉽게 말하는법
- 애드 캣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